Search
  Pictorial (4)
  Thai Society (697)
  Event News (23)
  TAT News (3)
  KOTRA News (0)
  KTO News (1)
  News in News (30)
  MICE (2)
  Hotel News (1)
  Embassy (5)

      시간이 느리게 가는 곳 태국북부 빠이에선 무슨일이?
 
  시간이 느리게 가는 곳 태국북부 빠이에선 무슨일이?  
     
   
 

2월 19일 뉴스

► 이스라엘인 강제 추방

태국이 이스라엘인 4명을 강제 추방했다. 이들 이스라엘인들은 최근 태국 북부 빠이에서 의료진에게 언어폭력을 가하고, 병원시설 파손, 병원 내 흡연, 소란을 피우는 행동 등과 함께 무면허 난폭 운전이 적발되기도 했다. 태국 이민국은 이번 조치가 특정 국적에 대한 것이 아니라, 공공질서를 해치는 모든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다고 발표했다. 태국 경찰은 외국인의 입국, 체류, 출국 관리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태국 북부 빠이는 이스라엘의 새 ‘약속의 땅?’

페통탄 태국총리가 북부 매홍손 주 빠이가 전쟁중인 이스라엘인들의 새 ‘약속의 땅’이 되었다는 소문을 공식 부인했다. 빠이에 이스라일인이 3만명 이상 거주하고 있다는 것도 루머라고 일축하며 아누틴 내무부장관이 다음주 직접 빠이를 방문, 현황을 파악할 것이라고 밝혔다.

매홍손 관광경찰은 빠이 지역의 총 인구는 약 3만 8,000명이며, 온라인에서 제기된 ‘빠이에 3만 명의 이스라엘인이 거주한다’는 주장 2024년 빠이를 방문한 이스라엘인들의 누적숫자이며 하루 80명 선이 머문다고 밝혔다. 또 빠이 지방행정당국도 올해 빠이를 방문했거나 거주하는 이스라엘인은 3천여명이라고 말했다. 2개월도 안돼 지역인구의 10% 정도면 비중이 많은 것은 틀림없는 것 같다.

https://www.happythai.co.kr/

►한국군 참여하는 코브라 골드 2025 합동 군사훈련 임박

미국 병력 3,200명이 참여하는 코브라 골드(Cobra Gold) 2025 합동 군사훈련이 2025년 2월 25일부터 3월 7일까지 태국에서 진행된다.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규모가 큰 합동 및 연합 군사훈련으로, 한국을 비롯해 올해는 참관국 포함 30여개국이 참여한다. 한국군 참가규모는 해군 160여 명과 해병대 210여 명이다. 한국은 2010년부터 정식으로 훈련에 참여하고 있다. 코브라 골드 훈련에서 태국 특수부대들의 생존훈련이 화제가 되곤 했는데 올해는 어떤 장면이 보도될지 기대. 

►이케아 태국에서 잘되네

스웨덴의 홈퍼니싱 브랜드 이케아(Ikea)가 2월 27일 치앙마이에도 오픈한다.

이케아는 현재 방나, 논타부리의 방야이, 푸켓, 방콕 프롬퐁 등 네 곳에서 매장을 운영 중이다. 이케아측은 치앙마이는 이케아의 이커머스 판매 실적이 높은 지역 중 하나라고 밝혔다. 

► 태국 대졸자 실업률 증가, 구하기는 쉽지 않고, 일자리는 없고

태국 대학졸업자들의 실업률이 증가하고 있다.

태국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에 따르면, 현재 실업자는 35만 8천 명이며, 이 중 학위 소지자가 9만 1천 명으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불확실한 경제 상황으로 채용을 주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데이터에 따르면 35만명의 실업자중 절반 이상은 한 번도 직장을 가져본 적이 없으며 경력 구직자 중에서는 서비스 및 무역업 종사자가 9만 6천 명으로 가장 많았다.

22만 1천 개 이상의 구인 공고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신입 지원자에게 적합한 일자리는 22%에 불과한 반면, 1~2년 경력을 요구하는 일자리가 전체의 38.3%를 차지했다.

►태국 정부 현급지급 정책 효과미미

경제활성화를 목표로 한 태국정부의 현금 지급계획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의문 또한 제기되고 있다.

집권 프어타이당의 핵심 공약인 디지털 지갑 정책은 당초 계획보다 축소된 형태로 시행되었으며, 현재까지 저소득층, 장애인, 고령층을 대상으로 총 2,000억 밧에 가깝게 지급되었다.

이 정책은 침체된 경제 성장률을 끌어올릴 것이라고 주장했으나, 학계 및 야당 정치인들은 세금 낭비라며 강하게 반대했다.

경제적 효과는 정부의 기대만큼 크지 않았다. 주요 원인은 낮은 승수 효과로 분석됐다. 한 야당의원은 “정부가 돈을 빌려 경제에 3밧을 투입하면 1바트밖에 돌아오지 않는 패턴이 반복되고 있다”며 디지털 지갑 정책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https://youtu.be/aHSFzTAxfT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