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Pictorial (4)
  Thai Society (652)
  Event News (23)
  TAT News (3)
  KOTRA News (0)
  KTO News (0)
  News in News (29)
  MICE (2)
  Hotel News (1)
  Embassy (5)

      태국 총리도 당할뻔, 태국 재계 1위기업 총수도 참다못해 고소했다
 
  태국 총리도 당할뻔, 태국 재계 1위기업 총수도 참다못해 고소했다  
     
   
 

태국에 보이스피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심지어는 태국 30대 첫 여성 국가수반인 패통탄 총리가 깜박 속을뻔한 충격적인 사실이 공개되었습니다..

패통탄 친나왓 총리는 1월 15일 음성 복제로 주변국 지도자를 사칭한 진짜같은 보이스피싱에 거의 속을 뻔했다고 태국언론에 밝혔습니다.

패통탄 총리는 “잘 알려진 외국 지도자 목소리였다. 곧 만나기를 기대한다는 음성메시지를 받아 알겠다고 답한 뒤 다음날의 문자메시지에서 상대방 외국지도자가 태국은 아직 기부하지 않은 유일한 아세안국가라며 기부를 요청했다”고 말했습니다.

패통탄 총리는 기부 요청에 다소 놀라 의심이 들었으며 보내 온 은행 계좌번호가 제3국인 것을 확인하고서야 사기임을 확신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패통탄 총리는 "사기가 점점 지능화되고 교묘해지고 있다. AI 기술이 발달하면서 목소리를 복제하거나 가짜 음성을 생성하는 딥보이스와 실제 인물처럼 영상을 만드는 딥페이크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태국 사이버 경찰은 패통탄 총리를 대상으로 기부금을 사취하려 했던 콜센터 조직이 이웃 국가에서 활동하고 있다고 확인했습니다. 현재 해당 국가 당국과 협력해 추가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패통탄 총리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었다고는 보지 않으며, 조직이 온라인에서 정보를 찾아냈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습니다.

태국 재계서열 1위의 CP 그룹도 1월 16일 다닌 수석회장의 이름과 이미지를 사용한 사람들에 대한 법적조치를 촉구하며 경찰에 고소장을 제출했습니다.

그동안 그룹차원에서 관련이 없으니 유의하라는 성명만 발표했지만 참다참다 못해 고소를 결심한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온라인에는 다닌 회장의 이름과 사진을 이용해 언론매체의 인터뷰 형식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저절로 돈을 벌 수 있다는 허위기사와 광고가 만연하고 있습니다.

CP그룹은 가해자들에게 법이 허용하는 최대한의 처벌을 요구할 것이라며 강경하게 밝히고 있습니다.

태국에서 의심스러운 콘텐츠나 투자 사기 관련된 사항을 신고하려면 사이버 경찰 핫라인 1441로 연락하거나 지역 경찰서에 신고하면 됩니다.

온라인 사기의 피해자가 될 뻔한 패통탄 총리는 1월 16일 방콕에서 열린 제5차 아세안 디지털 장관회의 개막식에서 온라인 사기 방지, 허위 정보 대응, 윤리적 AI 활용 촉진을 위한 역내 협력을 촉구했습니다.

페통탄 총리는 온라인 사기가 대중에게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디지털 안전 보장과 대중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역내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허위 왜곡된 정보가 사회적 신뢰를 약화시킨다며 사람들이 안전하고 책임감 있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태국은 AI 기술의 책임감 있고 포괄적인 사용을 촉구하며, 오는 6월 유네스코와 협력하여 AI 윤리 글로벌 포럼을 개최할 것이라고도 발표했습니다.

한국에서도 온라인 명예훼손에 대해 형법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벌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온라인 상 타인의 명예를 훼손한 경우는 사실의 적시든 허위든 처벌받습니다. 허위사실은 5년 이하의 징역 1천만원 이하의 벌금입니다. 비방목적이 있었는지가 형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카카오톡 단체방에 명예훼손성 글을 올리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기업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이로 인한 업무방해가 있었을 경우에는 공소시효 7년에 최대 7년 이하의 징역이란 중형이 내려집니다.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도 가능합니다.

연예인을 비방한 온라인 유저가 순식간에 검거되는 등 한국의 디지털 범죄 수사기법도 발전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피해가 우려되거나 이미 발생한 경우, 증거를 확보해 즉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한국과 태국은 지난해 5월 양국간 사이버안보 정책과 전략, 사이버범죄 수사 공조 방안 등을 논의하기도 했습니다.

디지털이 현대사회의 지배적이고 중요한 정보소통 방식이 된 만큼 이에 걸맞는 디지털 윤리의식이 동반 성장해야 할 것 같습니다.

영상으로 보기

https://youtu.be/W0P3YBKBij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