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Pictorial (4)
  Thai Society (629)
  Event News (23)
  TAT News (3)
  KOTRA News (0)
  KTO News (0)
  News in News (28)
  MICE (2)
  Hotel News (1)
  Embassy (5)

      불붙은 태국 K-Food 한류
 
  불붙은 태국 K-Food 한류  
     
   
 

국 식품시장에서 K-Food의 존재감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2년간의 코로나가 지속되며 태국인들 사이에 한국 김치, 라면, 고추장 등 한국 주요 식품의 소비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다.

과거에도 딸기 등 일부 품목의 선호현상이 있었으나 코로나 이후 한국인이 주로 소비하는 식품류 소비가 태국에서도 매우 뚜렷해지는 현상이다.

김치찌개, 떡볶이 등 한국음식을 만드는 기본 양념인 고추장의 수입에서도 확인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방콕지사의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 이전인 2019년 641,596달러를 기록했던 태국의 한국 고추장 수입은 2021년 10월 현재 1,472,824 달러로 증가했다.

2020년에도 1,445,689 달러를 기록해 코로나 이전대비 2.2배 이상 늘어났다.

김치의 수출량도 폭발적이다. 코로나 이전인 2019년 601,494 달러에서 2020년엔 11,102,333 달러로 증가했다. 올해 10월 기준 1년 간의 집계는 1,024,698 달러로 다소 감소했는데, 이는 태국 현지에서 김치를 직접 담가먹기 때문으로 밖에는 달리 해석이 안된다.

 

국식품 소비증가는 ‘단연코’ 코로나로 이동량이 제한되고 재택근무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면서 넷플릭스나 유튜브 등의 영상 콘텐츠를 통해 한국 식문화를 접할 기회가 증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아이러니컬하게도 코로나가 태국 내 한국음식의 소비를 견인한 셈이다.

짜빠구리 등 한국 식문화가 담긴 영화 ‘기생충’에 이어 드라마 ‘이태원 클래스’, ‘갯마을 차차차’ 등을 비롯해 최근의 ‘오징어 게임’까지 세계를 휘어잡은 한국 영상콘텐츠는 태국에서도 대세다. '음식왕' 백종원도 리모콘만 누르면 태국 TV 곳곳에 나온다. 특히 넷플릭스를 통해 한류 콘텐츠가 대량유입되고 큰 인기를 끌면서 ‘영상 한류’는 자연스럽게 ‘음식 한류’로 진화해 가고 있는 것이다.

태국 쭐라롱꼰대 3학년인 나파트라 뿐나차야(20)씨 가정의 사례는 흥미롭다.

회사원인 50대 중반의 아버지, 어머니와 함께 사는 태국 중산층의 나파트라씨의 집에는 언제부터인가 고추장이 기본 양념으로 갖춰져 있다.

김치찌개, 김치볶음 할때 이용하는데 어머니가 한달에 한번 정도는 한국음식을 요리한다. 조리가 쉽고 맛도 좋기 때문인데 틀면 나오는 한국드라마에서의 식사장면을 보며 언제부터인가 자연스런 모습이 됐다고 한다. 태국, 일본 라면도 있지만 한국라면은 종류와 맛도 다양해 자주 먹는 편이다.

다섯식구가 사는 젠지라 톰프라이(22)씨 가족도 한국 드라마를 통해 음식정보를 얻은 케이스다. 짜장을 직접 만들고 김치를 직접 담근다. 하지만 한국에서 수입한 김치가 더 맛있다는 데는 이론이 없다. 고추장도 기본 음식재료로 주방의 한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

간편식의 대명사인 한국 라면의 태국 진출은 더욱 눈부시다. 2019년 1578만 달러가 태국에 수출됐는데 2020년엔 2246 달러, 올해는 2359만 달러로 증가했다. 뿐만 아니라 샤인머스켓 등으로 고급화한 포도, 배, 감 등의 수출도 매년 큰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국 식품의 태국 진출과 함께 눈여겨 보게 부분이 있다.

김치의 태국 내 소비 증가에도 수출량이 정체된 반면 고추장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점이다.

김치는 태국 배추, 파, 소금, 고춧가루, 각종 소스를 활용해 담글 수 있지만 겉보리의 발아과정을 거친 엿기름이 있어야 하는 고추장은 대체가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태국 가정에서 고추장을 직접 만들어 먹는 경우는 거의 없다. 고추장은 한국 음식을 완성하는 마법같은 ‘비법’의 소스인 셈이다.

그러기에 한국 소스류의 증가는 한식 소비 저변확대를 엿볼 수 있는 바로미터라고도 할 수 있다.

이주용 aT 방콕지사장은 코로나 이후 태국의 한국식품 소비 트렌드에는 변화가 있다고 분석한다.

“과거에는 효능성이나 일부 패키징이 수출의 강점포인트였다면 이제는 부가적인 트렌드나 유행이 어필되는 상황이다. 바뀐 트렌드를 빨리 캐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태국에서는 건강, 기능, 안전이 주요 키워드다. 간편, 간단도 트렌드이지만 이것으로는 타국산, 태국산 식품과 경쟁이 치열할 수 밖에 없어 레드오션이다. 코로나로 인해 바뀐 소비행태는 코로나가 종식되더라도 코로나 상황에서 학습한 장점을 취하게 될것이다.”

태국 식품시장을 노크하는 한국 식품계가 귀기울일 말이다.

120편의 한국관련 논문을 저술, 태국 학자중 한국학의 최고 권위자인 담롱 탄디 전 쭐라롱꼰대 한국센터장은 “역사가 유구한 김치는 한국의 국가음식으로 노화 방지, 당뇨 예방, 면역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만능음식”이라며 김치 뿐만 아니라 여러 한국음식의 유용성을 주장하는 학자다. 외국 대학자의 한국 음식 찬사는 한국인 스스로도 자신감을 갖게 해준다.

로나는 ‘재택 문화소비’라는 현상을 불러왔고, 한국 콘텐츠의 인기와 함께 한국식품을 세계의 안방에 덜커덕 내려 놓았다. 그렇게 애써도 생각만큼 잘 안되던 ‘한식의 세계화’에 기회가 열린 것이다.

라면처럼 간편하지만 김치처럼 건강하고, 고추장처럼 복제 안되는 그 무엇의 연결고리를 찾는 과제가 남았다. <by 이유현 한태교류센터 KTCC 대표이사, Harry>

<또다른 관련 글> ‘태국은 한국 vs 일본식품의 총성없는 최대 격전지!’

https://blog.naver.com/leekiza/221336691091